탈수, 겨울(冬)에 많이 일어나… 예방하려고요?
탈수, 겨울(冬)에 많이 일어나… 예방하려고요?
탈수는 땀을 흘리는 한여름에 가장 많이 발생하지만 겨울(冬) 못지않게 흔하다(爲).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6년 자료에 따르면 국내 탈수 환자는 8월 9,125명으로 가장 많았고(多), 이어 12월 8,760명이었다.
(冬)겨울철 탈수증의 가장 큰 원인은 수분 섭취 부족(不足)이다. 겨울(冬)에도 우리의 몸은 우리의 호흡과 피부(皮膚)를 통해 (日)하루에 약 700mL의 수분을 방출한다. 소변으로 배출되는 수분을 더(爲)하면 (每日)매일 약 2L의 수분 손실이 발생합니다. 문제는 (冬)겨울철에는 기온과 습도가 낮아 갈증이 덜해 지는 만큼 수분을 많이 섭취하지 못한다는 점이다. 또한 겨울(冬) 탈수는 여름과 달리 설사나 구토 등 눈에 띄는 증상이 없어 방치하기 쉽다. 보통(普通) 기운이 없고 어지러우며 손발에 경련이 일어나는 가벼운 증상이 有(있다). 하지만 이를 방치(爲)하면 노폐물이 체내에 축적돼 만성피로를 유발할 수 있다. 특히 노년층이나 만성질환자는 적은 양의 탈수증세를 보여도 신장기능에 시달릴 수 있어 주의가 필요爲(하다).
(冬)겨울철 탈수 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(日)하루에 5~6잔(200mL 기준)의 물을 마셔야 한다.